본문 바로가기
HTTP/HTML5&JavaScript

HTML 문서구조 #1 섹션 알아보기

by grey-hat hacker 2021. 7. 15.
728x90

마크업 

 - 구조적 마크업 : 문서의 구조 정의, 콘텐츠의 의미 또는 역할 

 - 표현적 마크업 : 문서의 외형 정의, 문서 레이아웃, 디자인 (크기, 색)

 

HTML - 문저의 구조만 정의

CSS - 문서 레이아웃과 디자인 정의 

 

섹션 요소

 - section요소로 내용을 분리, 내용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자체적인 타이틀 필요

<section>
<h1>예식</h1>
<p>시작</p>
</section>

<section>
<h1>졸업생</h1>
<p>소개</p>
</section>

 

<nav> 네비게이션 요소

 - 문서의 동일 페이지 OR 다른 페이지를 연결하는 section

 - 목록으로 작성(CSS와 JavaScript 적용 시 다양한 동적 네비게이션 메뉴 만들 수 있다.)

 

<article> 독립적인 글

 - 신문, 잡지, 댓글 하나 

 

<aside>

 - 주로 사이드 바 형태로 표현 되어짐

 

<header> 머릿글 그룹

 

<footer>

 - 일반적으로 작성자, 저작권 등의 정보를 담음

 

헤딩

 - 섹션의 제목

 - h1~h6 까지 존재 : h1이 가장 큰 글자를 의미한다.

 

<hgroup>

  - h1~h6 요소들을 그룹 짓기 위해 사용한다. 

  - 포함된 헤딩 요소의 가장 높은 등급 -- 거의 사용 안함ㅋㅋ

 

헤딩 제목에 따른 섹션 분리

 - 섹션 요소의 제목 : Thud

   - 여기서 section 요소의 Thud는 제목 Foo의 내용이 된다. 

   - section이 없다면 Grunt이거는 Quux의 내용이 된다. 

    <body>
        <h1>Foo</h1>
        <h2>Bar</h2>
         <blockquote>
             <h3>Bla</h3>
         </blockquote>
         <p>Quux</p>
         <section>
             <h3>Thud</h3>
         </section>
         <p>Grunt</p>
    </body>

 <address> 

  - 가장 가까운 조상 요소인 article 또는 body 요소의 연락처 정보 의미한다. 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